![]()
방송게시판
|
|
|
![]()
|
2015-11-20 10:47:02, 조회 : 547, 추천 : 0 |
|
|
사리불아, 부처님은 또 이런 생각을 하시었느니라.
내가 만일 신통의 힘과 지혜의 힘만으로 방편을 버리고 모든 중생들에게 여래의 지견(知見)과 힘(力)과 두려움 없는 것(無所畏)만 찬탄하면 중생들이 이것만으로는 제도를 얻지 못하리라.
왜냐하면 이 모든 중생들이 나고(生) 늙고(老) 병들고(病) 죽고(死) 근심하고(憂) 슬퍼하며(悲) 고통(苦)과 번뇌(惱)를 면치 못하고 삼계의 불타는 집에서 타고 있으니, 어떻게 부처님의 지혜를 이해하고 알 수 있으랴
사리불아, 저 장자가 몸과 팔에 기운은 있으나 쓰지 않고 다만 은근하게 방편으로 여러 아들들을 불타는 집에서 힘써 건져낸 뒤에 보배로 된 큰 수레를 주듯이, 여래도 또한 그와 같아서 비록 힘(力)과 두려움 없음(無所畏)이 있지마는 쓰지 아니하고, 다만 지혜와 방편으로 삼계의 불타는 집에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성문과 벽지불과 불승의 삼승을 설하면서 이렇게 말씀하셨느니라.
너희들은 삼계(욕계.색계.무색계)의 불타는 집에 있기를 좋아하지 말라. 누추한 빛깔(色)과 소리(聲)와 냄새(香)와 맛(味)과 감촉(觸)을 탐내지 말라. 만일 탐내고 애착하면 불에 타게 되느니라. 너희들이 삼계(三界)에서 빨리 나오면 성문과 벽지불과 불승을 얻으리라. 내가 이제 너를 위하여 이 일을 책임지고 보증하니 허망하지 않으리라. 너희들은 다만 부지런히 정진하라 여래는 이와 같은 방편으로 중생을 권유하여 바른 길로 나아가게 인도하시고는 또 말씀하시었느니라.
너희들은 반드시 알라, 이 삼승법은 성인들이 칭찬하는 바이며, 자재하여 얽힘과 속박이 없고 의지하거나 구할 것이 없느니라. 이 삼승에 타기만 하면 번뇌가 없는 근기(根)와 힘(力)과 깨달음(覺)과 도(道)와 선정(禪定)과 해탈(解脫)과 삼매(三昧) 등을 스스로 즐길 것이며 한량없는 편안함과 기쁨을 얻게 되리라
------------------------------------------//
사고(四苦) 팔고(八苦)
육신의 생명 관점에서 생(生),노(老),병(病),사(死)네 가지를 사고(四苦)라 합니다.
누구나 태어 날 때의 일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출산하는 당사자도 괴롭고 태어나는 아이도 괴롭습니다. 늙으면 힘이 없으므로 괴롭고,병들면 아프고 자유롭지 못하여 괴롭고,죽는 것도 역시 괴롭습니다. 여기 사고(四苦)에 1, 애별이고(愛別離苦) 2,원증회고(怨憎會苦) 3, 구부득고(求不得苦) 4,오음성고(五陰盛苦)를 합하여 팔고(八苦)라고 합니다.
1,애별이고(愛別離苦)→자기가 좋아하는 것들과 이별하는 괴로움입니다. 이것은 인간 뿐 아닙니다. 꽃이 피어 아름답다 생각하면 곧 저 버리고,보름달인가 하면 곧 기울고,젊었는가 하면 곧 늙어가고,최고의 권력을 잡았는가 하면 곧 뒷사람에게 빼앗기니 모두가 괴로움입니다.
2,원증회고(怨憎會苦)→싫은 것을 만나는 괴로움입니다. 원수를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말과 같이 만나고 싶지 않은 미운 사람을 아무리 피하려고 해도 만나는 괴로움입니다.
3,구부득고(求不得苦)→구해도 얻어지지 않는 괴로움입니다. 자식을 얻고 싶어도 낳지 못하는 일,아들을 낳고 싶어도 딸만 낳는 일,돈이나 지위를 간절히 구해도 얻어지지 않는 일,농민이 비를 몹시 기다려도 가뭄만 계속되는 일,모두가 자기 뜻대로 되지 않아서 괴롭습니다.
4,오음성고(五陰盛苦) →몸과 마음이 왕성하면 그 왕성함으로 인해 욕망이 더 일어나 괴로워합니다. 약하면 약해서 괴롭지마는 강하면 강해서 갖가지 욕망이 일어나서 괴롭습니다
오근(五根)
1,신근(信根) 2,정진근(精進根) 3,염근(念根) 4,정근(定根) 5,혜근(慧根)을 오근이라 합니다. 다섯 가지 근기를 바탕으로 하는 인간의 근본 정서(情緖)를 오근이라고 합니다.
1,신근(信根)→부처님의 가르치심을 철통같이 믿는다는 것의 근본 마음입니다.
2,정진근(精進根)→마음을 순일하게 해서 그 신앙을 증진(增進)시켜 가는 것입니다.
3,염근(念根)→부처님의 가르치심을 자나 깨나 마음에 저장하고 잊어버리지 않는 것입니다.
4,정근(定根)→ 부처님의 가르치심으로 마음이 확고하게 안정되어서 흔들리지 않는 것입니다.
5,혜근(慧根)→모든 사물의 실상(諸法實相)을 아는 것입니다. 이상이 오근(五根)입니다.
오근이 있으면 그에 따른 힘(力)이 생깁니다. 오력(五力)이 생깁니다.
1,신근(信根)→삿된 믿음을 파하는(破邪信), 삿된 믿음을 깨뜨리는 힘이 생겨납니다.
좋은 교를 믿고 있으면, 자기는 물론 남에게 대해서도 그릇된 신앙을 깨뜨릴수 있는 힘이있습니다.
2,정진근(精進根)→게으른 마음을 파하는(破懈怠),정진하면 게으름을 깨뜨리는 힘이 생깁니다
인간은 게으름 보다는 활동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정말로 용맹정진해서 순수한 마음으로 바른 길을 나아가게 되면, 게으른 생각은 저절로 깨뜨려지는 힘이 생겨납니다.
3,염근(念根)→ 삿된 생각을 파하는(破邪念), 곧 쓸데 없는 일은 삭제하는 힘이 생겨납니다.
4,정근(定根)→ 어지러운 생각을 파하는(破亂想),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는 힘이 생깁니다
부언하면 어지러운 생각을 깨뜨리는 힘이 생깁니다. 어지러운 생각이란, 세상 일은 무엇이나 다 알고 있으면서도 마음이 이쪽으로 향했다 저쪽으로 향했다 해서 통일이 없는 것입니다.
5,혜근(慧根)→모든 의혹을 파하는(破諸惑),가
지가지의 의혹을 깨뜨리는 힘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오근에 의해 가지가지의 그릇 된 사상을 타파하는 것이 오력입니다
Questo Grande Amore (위대한 사랑) / Carmelo Zappulla / (깐소네) |
 |
|
[2015-11-21] |
: |
오도행 보살님 말씀 고맙습니다.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행복하십시오..^^ 성불하십시오.._()_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