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head9.jpg
Home 방송안내 신행생활 음악수필 불교강좌
 
  운영자인사
  운영자소개
  방송시간표
  생방송듣기
  방송대화방
  윈앰프설치
  사이버연등
  후원금보시

무창포불교대학




  금주의 불교계소식

 “가을국화는 부루나 존자를 배웅하는 미소”
眞虛性宗 2013-09-15 06:55:18, 조회 : 1,562, 추천 : 0
  첨부파일 : 22667.jpg (80kb)   다운 : 234

실제크기로 보기

승용차를 비롯해 사찰 돈 솜옷 모자 목도리 내복 장갑 등 고가품을 갖고 있지 않아 ‘일곱 가지가 없는 한국의 부루나’로 불린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가 2천여 명의 사부대중이 애도하는 가운데 적멸에 들었다.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의 영결·다비식은 13일 범어사에서 조계종 원로회의장으로 엄수됐다. 7가지가 없는 스님의 영결식답게 흔한 영결식 리플렛도 없었다.

영결식은 명종 5타에 이어 삼귀의-영결법요(원로의원 세민 스님 집전)-헌행-헌다-헌화-행장소개 (법륜사 회주 선래 스님)-추도입정 음성법문-장의위원장 밀운 스님 영결사-종정 법어(명선대종사 대독)-총무원장 추도사-종회의장 조사-포교원장 조사-수불 스님 조사-이기흥 중앙신도회장 조사-내빈 헌화 순으로 엄수됐다.

원로의장 밀운 스님은 “‘아무리 꺼내어 써도 다함이 없는 창고로다.’ 밤색 가사에 깃든 풍요의 교학과 너른 자비심은 아무리 퍼내도 마르지 않는 샘물처럼 대종사의 그늘아래 온중생이 허기진 갈증을 의탁해 왔다”면서 “스님을 뵈오면 확연히 부처의 종지를 보는 듯 하였고 스님의 사자후를 듣게 되면 줄탁의 도를 이루는 기쁨에 접었다”고 했다.

이어 밀운 스님은 “한국불교의 한 가운데 주석하시면서도 시비분멸에 가담하지 않고 청정무애하고 무재자재한 법신의 경계를 보여주신 스님을 일러 세상 사람들은 ‘써도 써도 풍요로움이 끊기지 않는 보배창고’ 즉 무진장이라 말한다”면서 “우리 사부대중은 대종사의 무한한 덕화와 지도로 부처님의 자비스러운 가르침이 훼손되지 않도록 두타행을 더욱 쌓아가겠나이다”라고 말했다.

종정 진제 스님은 명성 스님이 대독한 법어를 통해 “종단대소사에 지도하시다가 홀연히 오온의 질통을 홀연히 탈거하니 제불제조의 적멸궁중에 안주하소서. 뭇 꽃이 웃음이여, 봄이 깊음이요, 낙엽을 바람이 뒤집음이여, 가을이 깊음이로다”라고 말했다.

총무원장 자승 스님은 “꿀벌 한 마리 살 것 같지 않은 이 도심에서도 국화향 따라 벌과 나비가 날아오듯이 각박한 도시의 한복판에서도 스님의 법향은 멀리 가는 향기가 되어 많은 중생에게 불법 인연을 맺어주셨습니다. 이제 이 땅의 중생들 다 놓아두시고 어느 세계의 중생을 교화하러 떠나십니까?”라고 애도했다.

이어 자승 스님은 “오늘 이곳에 가득한 가을국화는 스님의 열반을 슬퍼하는 조화(弔花)가 아니라 무량 복덕을 지으시고 떠나시는 이 시대의 부루나존자를 배웅하는 미소”라며 “향과 꽃으로 배웅하오니 다시 향과 꽃으로 청하올 그 날에 속히 돌아오시어 청아한 법음으로 저희의 눈과 귀 밝혀 주소서”라고 추도했다.

중앙종회 의장 향적 스님은 “여기 모인 대중은 평소 자애로운 모습으로 저희를 이끌어 주시던 그 진용을 뵈올 수 없어 가슴이 무너지고 일생동안 종횡무진으로 가는 곳마다 원통자재하셨던 그 주인공의 일기일경(一機一境)을 보지 못해 슬픔에 잠겼다”면서 “이제 자애로운 진용과 사자후를 어디서 뵙고 들어야 합니까. 저희들은 이 자리를 비워놓고 기다리겠다”고 애도했다.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 영결·다비식에는 원로의장 밀운 스님을 비롯해 명선·도문·혜승·법흥·월파·종하·월탄·정관·암도·세민·지성·대원·성우·활안·동춘 대종사와 금정총림 방장 지유 스님, 덕숭총림 방장 설정 스님 등 원로 중진 스님들이 참석했다.

또 총무원장 자승 스님, 종회의장 향적 스님, 호계원장 일면 스님, 교육원장 현응 스님, 포교원장 지원 스님, 범어사 주지 수불 스님, 무비 스님, 전 종회의장 보선 스님, 해인사 율주 종진 스님, 통도사 유나 천진 스님, 범어사 유나 인각 스님, 지운·성문·성타·선해·원명·무상 스님 등 교구본사 주지 스님 등 출가자 500여명과 이기흥 중앙신도회장, 이윤희 범어사 신도회장, 정갑윤 국회정각회장 등 1500여명의 재가자들이 참석했다.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의 법구는 영결식 직후 범어사 경내 인근에 마련된 다비장으로 운구됐다.

이운은 인로왕번을 선두로 불교기-무상계-법성계-십이불번-법주-향로-위패-영정-법구-문도-장의위원-비구-비구니 신도 순으로 운구됐다.

다비식은 보제루 아래 계단을 지나 불이문, 천왕문, 일주문을 거쳐 경내 은행나무 옆 공터에 마련된 다비장에서 거행됐다. 다비장은 숯 2톤을 바닥에 깔고 새끼줄과 소나무, 스님의 법납을 상징한 흰국화 58송이로 장엄해 여법함은 부족함이 없었다.

특히, 다비장은 흔한 연꽃의 화려한 다비장과 달리 검소한 스님의 모습을 보는 듯 소나무 가지로 장엄됐다.
거화의식에 맞춰 “스님 불들어 갑니다. 어서 나오세요.”라는 대중들의 구호에 장의위원과 문도들이 불을 붙이자 무진장 스님과의 인연은 금정산 넘머로 홀연히 멀어졌다.

초재는 9월 15일 부산 범어사, 5재는 10월 13일 제주 반야사, 막재는 10월 27일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다.

■혜명당 무진장 스님은?

혜명당 무진장 스님은 한국불교에서 포교와 설법제일로 한국의 부루나로 불린다. 무진장 스님은 경주 김씨로 법명은 무진장, 법호는 혜명이다. 1932년 음력 9월 2일 한의사인 부친 김태익과 모친 이진문의 장남으로 제주시 조천읍 화흘리 233번지에서 태어났다.

무진장 스님이 17세가 되던 해 한국전쟁이 발발해 학도의용군으로 참전하고 21세이 제대해 집으로 돌아오니 부친의 죽음을 알고 상심하던 중 인생의 무상함을 크게 느껴 1955년 23세가 되던 해 출가의 길을 택했다.

무진장 스님은 1956년 3월 15일 범어사 금강계단에서 동산 스님을 은사로 입산 수계해 1960년 범어사 강원에서 대교과를 이수했다.

스님은 1964년 동국대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1967년 동국대 불교대학원에서 수학하고 1968년 태국 왓 벤차마보핏 사원에서남방불교를 연구한 후 1970년 일본 경도불교대학원에서 천태학 등을 연구했다.

교학연구에 매진한 스님은 포교에도 힘썼다. 1970년 1월 조계종 포교원을 창설하고 서울종로에서 본격적인 포교활동에 나섰다. 스님은 모교인 1975년 동국대 법사와 불교대학 강사를 지냈고, 1980년 2대, 1989년 4대 조계종 포교원장을 지내면서 평생 일반대중을 위한포교 사업에 진력했다.

무진장 스님은 설법은 ‘무진장’했고 생활은 무소유의 삶을 살았다. 도심포교를 주창한 용성 스님의 후예답게 스님은 평생 도심포교를 위해 옹 몸으로 설법했다.

스님은 많은 재가불자를 키웠으나 단 상좌는 진관 스님을 비롯해 세 명에 불과했다. 스님은 평생 모자를 쓰지 않았고 목도리, 내복, 솜옷도 입지 않았다. 오직 밤색 법복 2벌로 지냈다.

청빈했던 스님은 1987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 2005년 포교대상을 , 2006년 동국역경원 후원회장으로 불전 번역에 큼 힘이 되었다. 2007년 조계종 원로의원에 당선하고, 2008년 77세가 되던 해 조계종 대종사 품계를 품수했다.

종단 발전과 포교에 매진한 스님은 열반에 앞서 자신이 평생 모든 사전 등 불교 서적을 중앙승가대학교에 기증했고, 2013년 9월 9일 동국대학교 병원에서 세수 82세, 법랍 58세로 원적에 들었다.


자료출처 : 불교중심 불교닷컴. 기사제보 mytrea70@gmail.com]
운암(雲庵) [2013-09-15] : 합장하여,극락왕생을 빕니다. _()_


  이전글 태고총림 선암사서 태고종 제25대 총무원장... 眞虛性宗 2013-09-27
  다음글 한국불교태고종 종정예하 하안거 해제법어 眞虛性宗 2013-08-22

목록으로 수정하기 삭제하기 추천하기
ⓒ 2001-2004 by Passkorea Co., Ltd. All rights reserved   

후원금보시함

신행상담실